아산 신창학성, 축성 시기 백제시대 규명
상태바
아산 신창학성, 축성 시기 백제시대 규명
  • 유인상 기자
  • yoo7444@naver.com
  • 승인 2022.09.06 09: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장 사진
현장 사진

(아산=세종충청뉴스) 유인상 기자 = 아산시가 그동안 추정 범주에서 논의되던 신창학성의 백제시대 축성이 확실하게 규명됐다고 6일 밝혔다.

신창학성 북벽-동벽의 회절부 주변에 대한 발굴조사에 나선 아산시와 (재)비전문화유산연구원은 지난해 상층 발굴을 시작으로 올해 하층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백제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크게 4단계에 걸친 유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1단계 백제시대의 수혈유구를 조성한 단계로 저장용 목적의 수혈 9기가 확인됐다. 유물은 삼족토기, 개배, 단경호, 장란형토기, 호형토기, 기와 등이 출토됐는데, 시기는 웅진기에서 사비기로 편년 된다.

2단계 신창학성 성벽의 축조단계로 경사면을 정지한 후 중대형의 할석을 4~6단 정도 안팎으로 성돌을 쌓는 협축식으로 축석했다.

3단계 건물지와 기단석렬 등을 조성한 시기다. 건물지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삭토와 성토를 통해 대지를 만든 후 조성됐다. 주름무늬병 등이 출토돼 나말여초에 조영된 것으로 확인된다.

4단계 건물지가 폐기된 이후 굴립주건물지, 수혈유구, 기둥구멍 등이 운용된 단계다. 총 32기의 유구가 확인됐으며, 조선시대 기와편 등이 확인됐다.

이처럼 신창학성 내에서 백제시대 유구와 유물이 동시에 확인됨에 따라 신창학성이 백제시대부터 신창지역의 방어를 위한 중요한 거점 역할을 했음이 분명해졌다.

또, 신창학성이 백제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통 시대적으로 신창지역의 중심지 기능을 담당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백제시대 유적과 성곽과의 관계성이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아 이 부분은 과제로 남았다.

시 관계자는 “신창학성의 정비복원 및 국가 지정 승격을 위해 향후 성벽의 단면조사 및 건물지 등에 대한 추가조사를 진행하고 계속해서 신창학성에 대한 학술적인 규명작업을 시행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