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무선으로 심혈관 모니터링 실시간 가능
상태바
KAIST, 무선으로 심혈관 모니터링 실시간 가능
  • 송윤영 기자
  • yaho1130@hanmail.net
  • 승인 2023.04.25 16: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경하 교수, 심혈관 내 압력, 혈류,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무선 시스템 개발
심혈관 질환 환자들의 사전 위험 예측 및 관리에 폭넓게 활용 기대
(사진제공=KAIST)좌)권경하 교수.우)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김종욱 박사
(사진제공=KAIST)좌)권경하 교수.우)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김종욱 박사

(대전=세종충청뉴스) 공윤영 기자 = 실시간 혈역학(Hemodynamic) 모니터링은 심혈관 질환을 앓는 환자의 수술 전후 관리에 도움을 준다. 이에 일상에서 실시간으로 심혈관 내 압력, 유량 및 온도 측정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인체이식형 의료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전기및전자공학부 권경하 교수가 배터리 없이 실시간으로 심혈관 내 압력, 유량, 온도를 측정해 심혈관 기능을 진단하는 무선 심혈관 임플란트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권경하 교수 연구팀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김종욱 박사가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이 기술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 4월 11일 발표됐다 (논문명 : A battery-less wireless implant for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vascular pressure, flow rate and temperature; URL: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1-023-01022-4).

현재는 침상 모니터에 연결된 유선 테더(tether)와 함께 센서를 동맥에 삽입해 동맥압과 혈류 속도 측정이 가능하지만, 유선 인터페이스가 심혈관 손상 및 감염이나 측정 정확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움직이지 않는 환자를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전문 의료 시설에 접근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환자의 수술 후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해, 배터리 없이 무선으로 작동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 과제다.

이에 연구팀은 무선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해 심혈관 내에서 배터리 없이 실시간으로 압력, 유속 및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식형 무선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림 1)

연구팀은 배터리 없이 무선으로 동작하는 압력, 유속 및 온도를 측정하는 임플란트 기기를 실제로 제작해(그림 2), 돼지의 폐동맥 및 양의 대동맥과 좌심실에서 기존 임상 기기와 유사한 성능을 보이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기술은 혈역학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해 심장 환자의 치료와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가정 또는 병원에서 환자의 행동 제약 없이 언제든지 모바일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연구를 주도한 권경하 교수는 “앞으로 심장판막 대동맥 이식술(TAVI) 후 경사도 및 기타 유출 검사, 뇌동맥류용 흐름 전환기 내부의 압력 및 유량 측정, 흉부 내 대동맥 내시경적 수술(TEVAR) 및 복부 대동맥류 내시경적 수술(EVAR) - 엔돌릭 감시 등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 기본연구, 우수신진연구,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연구개요

1. 연구 배경

혈역학(Hemodynamics)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은 심장 건강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임상 실무에서 심혈관 관련 수술 중기적 관리 지도를 가능하게 하여, 사망률, 장애 및 의료 비용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 환자의 치료 품질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혈역학 기능 추적 도구는 일반적으로 외부 침상 모니터에 연결된 유선 카테터에 부착된 센서를 사용하여 동맥압 및 혈액 유속을 측정한다. 이는 병원에서 움직임이 없는 환자에게 제한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중요 심혈관 매개변수(압력, 유량 및 온도)를 고속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무선으로 전송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진은 이식 장치와 착용 장치로 구성된 무선 심혈관 모니터를 개발했다 (그림1). 이식 장치는 i) 동맥/심실 내 압력, 혈류 속도 및 혈액 온도의 실시간 측정을 제공하는 바이오센서 모듈과 ii) 무선 전력 수급 및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착용 장치는 i) 이식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송신 코일, 충전 회로 및 배터리로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과 ii) 무선 데이터 수신, 표시, 분석 및 저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심혈관계의 핵심 매개변수인 압력, 유량 및 온도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심장 내 또는 혈관 내에서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센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다양한 이식 기기(인공 판막, 혈관 스텐트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에서 나온 데이터는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통해 동맥 및 심실 내 압력과 혈류 속도 그리고 심부온도로 정량화된다. 연구 결과는 돼지와 양 실험에서 기존 임상 장비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측정 방법과 관련된 센서 및 시스템 동작을 검증했다.

이전 연구와 달리, 물리적 유선 연결 없이, 병원 외부에서도 개인 맞춤형, 적시에 환자의 심장 부전 및 뇌졸중 위험이 증가한 환자의 치료 전략의 기초로 사용될 수 있는 임상 등급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앱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혈역학 기능을 특성화하고, 심혈관 질환의 심각성을 평가하며, 클리닉 또는 홈에서 지속적 또는 간헐적 평가를 위한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3. 기대 효과

일상 활동 중 환자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심장 장애를 진단하고 관련 치료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추가적인 잠재력이 있다. 스텐트, 클립 및 보조 판막 등 다양한 의료기기와 통합하여 혈역학 매개변수의 정확한 추정 또는 임플란트의 기능을 모니터링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1. 임플란트 장치는 (1) 혈관 내부에 삽입되어 압력, 유속 및 온도를 측정하는 바이오 센서와 (2) 하부피막층에 삽입되어 무선 전력 수급 및 무선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외부 웨어러블 장치는 (1) 무선 시스템을 무선으로 제어하고 통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2) 무선 시스템에 전력을 전송하는 외부 무선 전력 전송 모듈로 구성된다. 외부 웨어러블 장치는 셔츠나 조끼 주머니에 넣어 놓을 수 있어,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정렬이 유지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무선 측정값의 저장 및 분석 그리고 혈액의 유속, 압력, 온도 데이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환자들이 어디에서든 신속하게 혈액 역학 이상을 탐지하고 특성화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그림 1. 임플란트 장치는 (1) 혈관 내부에 삽입되어 압력, 유속 및 온도를 측정하는 바이오 센서와 (2) 하부피막층에 삽입되어 무선 전력 수급 및 무선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외부 웨어러블 장치는 (1) 무선 시스템을 무선으로 제어하고 통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2) 무선 시스템에 전력을 전송하는 외부 무선 전력 전송 모듈로 구성된다. 외부 웨어러블 장치는 셔츠나 조끼 주머니에 넣어 놓을 수 있어,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정렬이 유지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무선 측정값의 저장 및 분석 그리고 혈액의 유속, 압력, 온도 데이터의 실시간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환자들이 어디에서든 신속하게 혈액 역학 이상을 탐지하고 특성화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그림 2. 무선시스템은 (1) 무선 전력 수급을 위한 수신 코일 및 전력 관리부, (2)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데이터 전송부와 (3) 바이오센서의 저항값 변화를 전압으로 변환해주는 증폭기로 구성된다. 무선시스템은 피하 주변 조직 손상 없이 삽입이 가능하도록 유연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작되었고, 주변 조직 및 생체 액체로부터 기계적 및 유체적 격리가 가능하도록 생체 적합성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코팅 및 밀봉되었다. 바이오센서는 실리콘 나노멤브레인을 이용하여 mm 수준으로 제작되어 혈관 내 스텐트나 인공판막 등 다양한 의료기기와의 통합 가능성을 제공하며, 최소 침습성 경간막 시술을 통해 이식 가능하다.
그림 2. 무선시스템은 (1) 무선 전력 수급을 위한 수신 코일 및 전력 관리부, (2)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데이터 전송부와 (3) 바이오센서의 저항값 변화를 전압으로 변환해주는 증폭기로 구성된다. 무선시스템은 피하 주변 조직 손상 없이 삽입이 가능하도록 유연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작되었고, 주변 조직 및 생체 액체로부터 기계적 및 유체적 격리가 가능하도록 생체 적합성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코팅 및 밀봉되었다. 바이오센서는 실리콘 나노멤브레인을 이용하여 mm 수준으로 제작되어 혈관 내 스텐트나 인공판막 등 다양한 의료기기와의 통합 가능성을 제공하며, 최소 침습성 경간막 시술을 통해 이식 가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